1. 다음 중 이 장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암호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기술의 장점을 설명한 것으로 적합한 것은?
① 대칭 암호의 빠른 처리 속도와 공개 키 암호의 키 배송의 편리성
② 대칭 암호의 빠른 처리 속도와 공개 키 암호의 기밀성
③ 공개키 암호의 빠른 처리 속도와 대칭 암호의 키 배송의 편리성
④ 공개키 암호의 빠른 처리 속도와 대칭 암호의 기밀성
⑤ 공개키 암호의 키 배송의 편리성과 대칭 암호의 무결성
• 하이브리드 암호 시스템(hybrid cryptosystem)
– 대칭 암호와 공개 키 암호의 장점을 조합한 방법
– 메시지의 기밀성: 고속의 대칭 암호
– 대칭 암호 키의 기밀성: 공개 키 암호
2. 공개키 암호의 단점으로 적합한 것은?
① 느린 처리 속도와 기밀성에 대한 취약성
② 무결성의 취약성과 재전송 공격에 대한 취약성
③ 부인방지에 대한 취약성과 개인 키 관리의 취약성
④ 느린 처리 속도와 중간자 공격에 대한 취약성
⑤ 키 배송의 불편함과 인증에 대한 취약성
1) 공개 키 암호는 대칭 암호에 비해 처리 속도가 훨씬 느리다
2) 공개 키 암호는 중간자(man-in-themiddle)공격에 약하다
3. 이 장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암호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?
① 세션 키는 의사난수 생성기로 만든다.
② 세션 키를 암호화 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. => 속도가 빨라 암호화 시간이 짧다
③ 세션 키 암호화에 공개키 암호를 사용한다.
④ 무결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.
⑤ 메시지를 암호화할 때 대칭 암호를 사용한다.
메시지는 대칭 암호로 암호화
• 대칭 암호의 암호화에서 사용한 세션 키는의사난수 생성기로 생성
• 세션 키는 공개 키 암호로 암호화
• 공개 키 암호의 암호화에서 사용하는 키는 하이브리드 암호 시스템과 무관한 외부에서 만들어 사용
4. 이 장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암호에 사용되는 기술들로만 묶인 것은?
① 해시 함수, 대칭 암호, 공개키 암호
② 의사난수 생성기, 대칭 암호, 공개 키 암호
③ 인증서, 의사난수 생성기, 대칭 암호
④ 난수 생성기, 세션 키, 인증서
⑤ 해시 함수, 의사난수 생성기, 공개 키 암호
6. 이 장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암호에서 사용하는 공개 키 암호와 대칭 암호의 키 길이 밸런스가 중요한 이유는?
① 세션 키의 길이는 공개 키의 길이와 같아야 처리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.
② 공개 키가 노출되어 있어서 세션 키의 길이도 노출되기 때문이다.
③ 공격자가 사용된 키 중 취약한 암호 시스템의 키를 공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.
④ 난수 생성기에 서 생성되는 세션 키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때문이다.
⑤ 공개 키 암호에 대한 다양한 공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.
어느 쪽인가 한 쪽의 키 길이가 극단적으로 짧으면, 공격이 그쪽으로 집중될 가능성이 있음
대칭 암호와 공개 키 암호의 키 길이는 양쪽이 같은 정도의 강도가 되도록 길이의균형을 맞춤
장기간의 운용을 고려
한다면 대칭 암호보다도 공개 키 암호 쪽을 강하게
8. 이 장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암호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암호문을 수신한 수신자가 복호화를 하기 위해
제일 먼저 해야 하는 일은 무엇인가?
① 공개 키로 암호화된 세션키와 세션 키로 암호화된 메시지를 분리한다.
② 의사난수 생성기를 이용하여 의사난수를 생성한다.
③ 수신자의 개인키로 세션 키를 복호화 한다.
④ 세션 키로 암호문을 복호화 한다.
⑤ 따로 전송된 세션 키와 암호화된 메시지를 결합한다.

10. 이 장에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암호를 이용하여 암호문을 수신한 수신자가 수행하는 내용의
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?
① 제일 먼저 수신된 메시지를 분리한다.
② 세션 키로 암호화된 메시지를 자신의 개인 키로 복호화 한다.
③ 의사난수 생성기를 사용하지 않는다.
④ 자신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세션 키를 개인 키로 복호화 한다.
⑤ 세션 키로 암호화된 메시지는 대칭 암호 시스템을 통해 복호화 한다.
'정보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유니티]게임 클라이언트 최적화 5가지방법 (0) | 2025.03.29 |
---|---|
[컴퓨터 보안] 알기 쉬운 정보 보안 개론 chapter 08 (0) | 2022.06.17 |
[컴퓨터 보안] 알기쉬운 정보보안 개론 chapter 06 (0) | 2022.06.17 |
[컴퓨터 보안] 알기쉬운 정보보안 개론 chapter 05 (0) | 2022.06.16 |
[컴퓨터보안]알기쉬운 정보보호 개론 chapter 04 (0) | 2022.06.1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