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대칭암호에 대한 설명 중 잘못 된 것은?
①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한다.
② 처리 속도가 비대칭 암호에 비해 빠르다.
③ 키의 길이에 따라 안전성이 달라진다.
④ 키 배송 문제가 쉽다. => 암호화와 복호화 키가 같으므로 키 배송이 어렵다.
⑤ 예로 AES가 있다.
2.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?(복수 가능)
① 블록 암호와 스트림 암호 모두 평문을 처리할 때 바이트 단위로 처리한다. => 블록암호는 블록 단위 , 바이트(x)
② 스트림 암호에서는 의사 난수를 사용한다.
③ 블록 암호에서는 키의 길이가 블록의 길이와 동일하다. => 평문을 64비트의 블록으로 나눈다.
④ 블록 암호는 대칭 암호와 비대칭 암호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.
⑤ 스트림 암호에서 사용하는 것은 XOR이다.
3. 1회용 패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(복수 가능)
① 현재 까지 알려진 암호 중 가장 안전하다.
② 비대칭암호와 마찬가지로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다르다. => 알수 없음.
③ 전사공격을 받게 되면 시간이 문제이지 궁극적으로 해독된다. => 키 전체를 해독하는 무한대의 컴퓨터가 있어도 불가능
④ 키 배송문제가 일반 대칭암호처럼 문제점으로 지적 된다.
⑤ 일회용 패드에서 사용하는 것은 XOR이다.
4. 부호화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?
① 알파벳을 8-비트 2진수로 이루어진 바이트 단위로만 변경한다. => 문자열을 비트열로 변경하는 것.
② 부호화 방법은 오직 한 가지 밖에 없다. => 여러가지 존재 ex)소스 부호화, 채널 부호화, 라인 부호화
③ 컴퓨터에서는 모든 자료를 2진수로 부호화하여 저장한다.
④ 궁극적으로 평문을 암호화하는 것은 평문에 대응되는 2진열을 만드는 것이다. => 문자열을 비트열로 변환 하는것.
⑤ 부호화에 사용되는 키를 세션키라고 한다. => 부호화는 키가 존재하지 않음.
5. DES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?
① 대칭 암호와 비대칭 암호 모두에 사용된다. => 대칭에만 사용함
② 블록의 길이가 56비트이다. => 키의 비트 길이가 56비트,
③ 14 라운드로 이루어졌다. => 16라운드로 구성되어있음.
④ 평문블록은 제일 먼저 비트 열의 순서를 재배열하는 초기치환을 거친다.
⑤ S-상자는 48비트를 입력으로 받아들여 48비트를 출력한다. => S-상자는 6비트의 입력을 받는다 .
6. AES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?
① DES를 대신하는 새로운 표준이다.
② 블록 길이가 128 비트인 대칭 블록 암호이다.
③ 키의 길이에 따라 라운드 수가 달라진다.
④ 키의 길이는 128, 192, 와 256 비트를 지원 한다.
⑤ 페이스텔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작성되었다. => 경쟁기반의 표준화
7. AES 선정 요구조건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?
① 선정 후 무료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.
② 암호화 자체의 속도뿐만 아니라 키의 셋업 속도도 중요하다.
③ 블록의 길이는 128 비트로 요구하였다.
④ 고정된 키의 길이를 요구하였다. => 키가 고정값이면 해독이 쉬워진다.
⑤ 플랫폼에 무관하게 효율적으로 동작되어야 한다.
8. 트리플 DES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?
① DES의 암호화를 3번 되풀이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.
② 트리플 DES의 처리 속도는 AES의 처리속도보다 빠르다. => 암호화 , 복호화, 암호화를 하므로 속도가 느리다.
③ 트리플 DES를 이용해 DES로 암호화된 것을 복호화 할 수 있다.
④ 트리플 DES의 키는 궁극적으로 56 × 3 = 168비트가 된다.
⑤ 전자지불시스템 등에서는 DES-EDE2를 아직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.
9. Rijndael에서 입력되는 각 바이트에 대한 4 가지 처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?
① ReplaceBytes. ② SubBytes. ③ ShiftRows. ④ MixColumns. ⑤ AddRoundKey.

11. 다음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?
① AES는 키의 길이에 따라 10~14 라운드로 구성된다.
② 비트열의 치환과 대체가 대칭암호 암호 알고리즘의 근본이다.
③ 스트림 암호에서는 입력되는 요소의 합이 일정한 블록의 크기가 된 후에 처리한다.
=> 스트림 암호는 비트단위로 함. 블록은 블록암호
④ 같은 비트열로 한 비트열에 XOR을 2회 되풀이하면 원래 비트열로 돌아간다.
⑤ 의사난수 생성기에서는 초기값을 사용하는데 초기값이 동일하면 동일한 의사난수를 출력한다.
12. 다음 XOR 계산 결과 중 잘못된 것은?
① a ⊕ b = b ⊕ a
② a ⊕ b ⊕ b = a
③ a ⊕ a = 0
④ a ⊕ 0 = a
⑤ 1 ⊕ a = a => a가 1일 경우 답은 0이 나옴
13. 1회용 패드는 실제로 왜 사용되지 않는지 그 이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?
① 키 배송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.
② 키를 보존하는 문제가 생긴다.
③ 키에 사용하는 난수열은 한 번 밖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난수를 대량으로 생성해야 한다.
④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동기화 문제가 있다.
⑤ 키를 생성할 때 의사난수 생성기를 활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.
=> 의사난수가 아니라 실제 난수를 사용해야해서 힘듬
14. 문자열을 비트열로 대응시키는 것을 _____________라고 한다.
① 암호화 ② 복호화 ③ 부호화 ④ 초기화
15. 다음 중 대칭암호가 아닌 것은 _____________이다.
① DES ② AES ③ 트리플 DES ④ RSA
16. DES의 기본 구조는 _____________구조 이다.
① Random ② Feistel ③ Vernam ④ Shannon
17. DES는 총 ____________ 라운드로 구성되어 있다.
① 10 ② 14 ③ 16 ④ 20
18. 트리플 DES에서는 DES 암호화를 연속으로 3번 되풀이하지 않고 암호화와 복호화를 섞어서 한다.
다음 중 순서가 맞는 것은 ____________ 이다.
① 암호화-암호화-복호화 ② 암호화-복호화-복호화 ③ 복호화-암호화-복호화 ④ 암호화-복호화-암호화
'정보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퓨터 보안] 알기쉬운 정보보안 개론 chapter 06 (0) | 2022.06.17 |
---|---|
[컴퓨터 보안] 알기쉬운 정보보안 개론 chapter 05 (0) | 2022.06.16 |
[컴퓨터보안]알기쉬운 정보보호 개론 chapter 03 (0) | 2022.06.16 |
[컴퓨터 보안] 알기쉬운 정보보호 개론 chapter 02 (0) | 2022.06.16 |
[컴퓨터 보안] 정보보안개론 chapter 07 (0) | 2022.06.1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