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치법과 대체법에 대해 설명하시오.
전치법(transposition): 단순히 메시지 안에 들어 있는 문자의 위치를 바꾸는 방법
대체법(substitution): 메시지의 글자를 다른 글자로 대체하여 암호문을 작성하는 방법
2. 단일 치환 암호법을 복호화하는 방법은 무엇인가?
① 순서 분석법 ② 알파벳 분석법 ③ 빈도 분석법(O) ④ 치환 분석법
=> 단일치환 암호법은 키워드를 몰라도 복호화가 가능함
단일치환 암호화
- 시저 암호화
- 알파벳을 3~4자씩 이동해서 해당되는 글자로 변환하여 암호화 .( 경우의 수 26가지밖에 없음)
- 모노 알파베틱 암호화
- 알파벳 대칭표 필요함 , 알파벳을 각각 다른 알파벳에 대응시켜 암호화 함
3. 다음 암호문을 플레이 페어로 알고리즘으로 복호화 ( 암호화 키 :hacking)

암호문 : YT DH YL TK FE IP EH JG IQ WM RO TE KJ AE GN TK YG TB IY AH GB
복호화 : to know is no thing at all to imagine is everything
4.다음 중 대칭 암호화 방식이 아닌 것은?
① Skipjack 알고리즘 = > 미국 안보국 개발, 클리퍼칩에 내장된 알고리즘
② DES 알고리즘 => 1972년 미국 상무부 NBS에서 정보 보호를 목적으로 공모한 알고리즘
③ LFSR 알고리즘 => (X)
④ AES 알고리즘 => DES의 상위 버전,
5. 공개 키 암호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?
① 하나의 알고리즘으로 암호와 복호를 위한 키 쌍을 이용해 암호화와 복호화를 수행한다. (O)
② 송신자와 수신자는 대응되는 키 쌍을 모두 알고 있어야 한다.
=> 위 해당사항은 비대칭 암호화에 대한 것
③ 두 개의 키 중 하나는 비밀로 유지되어야 한다.(O)
④암호화 알고리즘, 하나의 키와 암호문에 대한 지식이 있어도 다른 하나의 키를 결정하지 못해야 한다.(O)
6.공개키 암호화 구조에서 송신자는 수신자에게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기 위해 어떤 암호를 사용해야 하는가?
① 송신자의 공개키
② 송신자의 개인키
③ 수신자의 공개키 (O)
④ 수신자의 개인키
7. 다음에서 설명하는 정보보호 기술은?

① 핑거프린트(Fingerprint)
② DOI(Digital Object Identifier)
③ 디지털 워터마크(Digital watermark)
④ 스테가노그래피(Steganography) (O)
8. RSA 알고리즘의 기본 아이디어를 소수와 관련하여 설명하시오.
RSA 알고리즘은 충분히 큰 두 개의 소수의 곱의 결과값으로부터 두 개의 소수를 알아내기 어렵다는 점을 이용하고 있다.
-RSA 알고리즘

15 수신자의 공개 키로 메일을 암호화하여 전송할 때 얻을 수 있는 기능은 무엇인가?
① 기밀성(O) ② 무결성 ③ 부인 방지 ④ 가용성
=> 공개키로 암호화 하고, 개인키로 복호화를 하기 때문에 기밀성이 올라간다 .
'정보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퓨터보안]알기쉬운 정보보호 개론 chapter 03 (0) | 2022.06.16 |
---|---|
[컴퓨터 보안] 알기쉬운 정보보호 개론 chapter 02 (0) | 2022.06.16 |
[컴퓨터보안] 정보보안 개론 chapter 06 (0) | 2022.06.11 |
[유니티] 유니티 정리 (0) | 2022.05.02 |
UML 기초와 응용 (0) | 2022.04.25 |
댓글